작품경력
<간신> 각본 : 영화사 수필름 제작
<당신, 거기 있어줄래요> 각색 : 영화사 수필름 제작
다큐멘터리
<미디어가 만든 5.18 단편 다큐> : 5.18 기념재단 공모전 우수상
시나리오
단편 <추락> : 안산 상록수 시나리오공모전 장려상
장편 <역병> : 영화진흥위원회 시나리오마켓 추천작
사극 소설 <직필> 영화화 각색
방송
KBS 스페셜 5부작 <임진왜란 1592> 각색
강의목표
시작은 ‘두려움’이 아니라 ‘즐거움’이다.
좀 더 쉽게 시나리오라는 문서를 이해하여 접근,
‘스토리’라는 통합된 정의아래 웹소설 웹툰 웹드라마 드라마(OTT) 장편영화 등
스토리매체 전체를 관통하는 ‘스토리메이킹의 의미’를 깨우치는 시간으로 준비했습니다.
시작이라는 느낌의 기초가 아닌, ‘기쎈 초짜’작가로 거듭나는 기초반 클래스.
1. 하나의 소재가 2시간 짜리 서사를 이루기 까지,
캐릭터, 플롯, 기획, 제작, 그 모든 과정을 현업의 스탠스에 맞춰 이해, 경험할 수 있도록 준비된 체험과정.
2. 입문자부터 숙련자 까지,
누구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스토리 창작의
필수 포인트들을 토대로 강좌와 실천과제 병행도입.
3. 커뮤니티 통해 수시로 이뤄지는 개별 질의응답,
교육일정 상관없이 상시적인 개인 오리지날 작품의 피드백 공유 및 토론 동시진행.
주차 | 테마 | 내용 |
---|---|---|
1강 | 오리엔테이션 ‘시나리오 작가’란?&로그라인 |
시나리오 작가라는 포지션의 이해, 아이디어 저금하기. 로그라인에서 1페이지 아웃라인 만드는 법. / 자신의 인생과 목표, 프로필을 담아낸 한 문장 로그라인의 자기소개하기. |
2강 | 아이디어, 소재 발굴 및 전제작성. 주제와 메세지 |
아이디어에서 소재로, 소재에서 기획으로. 컨셉과 장르 선택. 자료조사와 셀프기획. 아이디어 저금하기-아웃라인 작성 소개. 이 소재를 통해 주제와 메시지 구현하기. |
3강 | 캐릭터 기획 및 구축/ 로그라인부터 아웃라인 만들기-캐릭터 플롯 1 -아웃라인으로 캐릭터 확립하기, -스토리라인으로 최초플롯 완성 및 공통 및 장르별 플롯 특성, |
매력적인 캐릭터는 매력적인 과거에서 나온다. -카타르시스 연구 소재에 맞춘 캐릭터 구성 및 각 캐릭터 역할 및 상성을 통한 아웃라인 완성하기 |
4강 | 첫 구성잡이 스토리라인 셋팅-캐릭터 플롯 2 -장르의 응용. 혼합장르의 이해 |
아웃라인 속 캐릭터와 주제자 등을 통해 작업하는 최초 구성라인 잡기. 7가지 구성포인트에 맞춘 구성포인트 확립하는 법. |
5강 | 브레인스토밍. 플로팅 구체화. 비트리스트 만들기 |
캐릭터가 만드는 플롯? 사건으로 부여되는 플롯? 그 차이와 효과 / 아이디어 수집, 퍼즐화 비트리스트로 발전과정 연구 (수강생 개인작품 제출 및 1대1 혹은 단체 피드백 시작) |
6강 | 시놉시스 |
비트리스트 집계로 완성하는 시놉시스. 시놉의 목표와 의미. 1차 과제 - 수강생들이 즉석 설정한 캐릭터 셋팅으로 각자의 시놉시스 만들어내기 |
7강 | 중간정리/ 옴니버스. 장르냐 플롯이냐 |
지난 시놉시스 과정까지 복습 보완 후, 옴니버스 영화라는 정의와 옴니버스 플롯 사이의 차이점 완벽 이해하기. |
8강 | 시놉시스 2주차 레퍼런스, 피드백 활용하는 법 |
과제 발표 및 검수, 현업에서의 의견 수렴, 모니터링 활용하기 기존 작품 레퍼런스 활용하기 이해. |
9강 | 트리트먼트 | 이상적인 디테일 기준 잡기. 체크사항 정리 과제- 레퍼런스 응용 셀프 트레이닝 두 편의 기존 영화 캐릭터를 통합, 새로운 스토리의 영화로 재조립하기. ex- 공공의 적 속 강철중 & 엽기적인 그녀 전지현 콜라보하기 (과제는 수강생 선택, 오리지날 작품 준비 원할 경우 skip) |
10강 | 트리트먼트 2주차 | 과제 검수, 대본 초고 단계 앞둔 최종단계 정리. *다시 써보는 시놉시스* |
11강 | 스토리를 피칭하기 (준비) |
자체 스토리 확립과 어필력 향상 위한 스토리 피칭타임 진행예정 및 안내. |
12강 | 스토리 피칭 실전 | 자신의 콘텐츠를 직접 판매하라. 실전연습 통해 제작자를 사로잡기. 주제와 메시지가 어필되는 피칭법. 그리고 이견에 대처하는 기술. Manner makes writer. (역: 상호 창작자를 배려하는 질의응답법) /외부 심사 초빙 예정. |
13강 | 신속정확 초고 만들기. 대본용어 및 효과 정리 |
초고는 최대한 빠르게, 스피드 라이팅 대본을 더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한 영상용어들 적절하게 사용하는 법 정리. |
14강 | 공동장면필사- 대본 필법탐구 | 영화연출 장면 이펙트 활용 예시 적용, 대본작법형식 확립 과제-개인 최애영화장면 필사해오기 |
15강 | 개인최애장면 필사 검수, 개인작품 피드백 |
과제 검수. 대본작업 코멘트. 개인작품 피드백 및 집중검수 시작. |
16강 | 리딩을 통한 대사 이해하기 | 개인작품 초고 혹은 하이라이트 씬 완성을 전제로, 현업배우와 연계하여 개인작품 배우리딩 체험 및 배우기준 수정사항 피드백 체크. /외부배우 및 강사 초빙예정. |
17강 | 작품 피드백, 각색요령 | 영원히 오리지날만 하는 작가는 없다. 회사의 기획물, 타 작가의 시나리오 각색, 기존 원작(소설, 웹툰) 을 영화화 시 주의점. 모티브 및 레퍼런스 작품 활용하기. 이 시점까지 시놉기준으로 오리지날 제출자 한정으로 수강생 간에 랜덤으로 작품 분배, 직접 각색해보기. (작품 분배작업 익명 진행) |
18강 | 작품 피드백, 각색요령 2주차 | |
19강 | 랜덤각색 과제 검수, 피드백 현장 제작회의 코멘트 |
각색내용 최종검수, 제작회의 느낌으로 단체토론 및 강평, 피드백 각색 잔여내용 코멘트 |
20강 | 현장 팁 최종정리 마무리 |
전체내용 총정리 및 현장에 대한 최종팁 정리. 마무리 |
작품경력
2018년 웹드라마<꿈꾸는하루>서울웹페스트 해외 집행위원장 선정 우수상.
2001년 조선일보 ‘신춘문예’ <희곡> 부문 당선.
2013년 서울영상위원회 ‘맛있는 레시피’ 스토리 우수작 선정.
시나리오
영화<마강호텔> 각본
영화< 남남북녀> 윤색
영화 <깽값> 각본
강의목표
이야기 시장의 트랜드를 분석하는 시간, 보편적인 이야기 공식을 익히는 시간.
자신만의 전략적 글쓰기를 훈련하는 시간.
변화무쌍한 콘텐츠 시장에서 진화하는 작가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수업!
이야기 시장이 정신없이 변하고 있습니다.
몇 년 전만 해도 제작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테마들이 줄줄이 영상화 되고 있습니다.
더 이상 작가는 특별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닙니다.
마음속에 쟁여두었던 이야기를 갖고 오세요.
이 수업은 작법수업을 넘어서 새로운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시간이 되고자 합니다.
자유로운 토론과 실습을 통해 완성된 시나리오 한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직업 작가를 꿈꾸는 사람, 세상에 할 말이 많은 사람, 나이는 숫자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.
이 재미있는 고통에 동참하실 분을 기다립니다.
주차 | 단원 | 강의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주 | 이론 |
영화란 무엇인가? 이야기란 무엇인가? 시나리오란 무엇인가? (이야기 산업구조의 특성) |
수강생 자기소개 및 강의 오리엔테이션. |
2주 | 이론 |
서사 구조론. (희곡과 드라마, 영화,OTT영상물) –다양해진 이야기 구조 분석 |
신화, 괴담, 소문, 뉴스기사 구조 분석해보기 |
3주 | 이론과 실제 |
영화 기획서 분석하기. (제작사의 기획서를 분석하면 팔리는 시나리오가 보인다.) |
공감각적 이미지 트레이닝 및 두뇌 유연체조 |
4주 | 이론과 실제 |
소재와 주제찾기. (text와 context란 무엇인가?) |
사회적 키워드와 콘텐츠시장 상관관계. |
5주 | 이론과 실제 |
좋은 아이템이란? (한줄 갈등구조란 무엇인가? 셀링포인트(selling point) |
로그라인 10개 써오기. (읽고 분석하기) |
6주 | 이론과 실제 |
케릭터 창조와 배치 극적 등장인물이란 무엇인가? (프로타고니스트와 안타고니스트) |
로그라인 발전시켜서 등장인물 정리 해오기. |
7주 | 이론과 실제 |
케릭터 대립 매력적인 영화등장인물이란? (주연과 조연의 배치) |
등장인물의 목표 정리하기. |
8주 | 이론과 실제 |
영화의 톤 앤 매너와 셀링 포인트 (공모전과 기획시나리오의 전략) |
영화 분석하기. |
9주 | 이론과 실제 |
플롯의 구성 요소. 3막 구조에 대하여. |
<희곡>소포클레스作 <오이디프스왕> 비극 분석하기. |
10주 | 이론과 실제 |
플롯 1. ( 장르 영화에 대하여 - 스릴러 추리, 공포물) |
시놉시스 써오기. (읽고 분석하기) |
11주 | 이론과 실제 |
플롯 2. ( 장르 영화에 대하여- 멜로, 로멘틱 코미디등 ) |
시놉시스 써오기. (읽고 분석하기) |
12주 | 이론과 실제 |
플롯 3. ( 장르 영화에 대하여- 사극, 전쟁 영화) |
트리트먼트 써오기. (읽고 분석하기) |
13주 | 이론과 실제 |
플롯 4. ( 장르 영화에 대하여- SF, 메디컬, 재난영화) |
트리트먼트 써오기. (읽고 분석하기) |
14주 | 이론과 실제 |
구성의 실제1. (발단 부를 쓴다. - 결론을 제일 먼저 만든다.) |
시나리오 쓰기 |
15주 | 이론과 실제 |
구성의 실제 2 ( 기폭제- 인물의 초 목표를 찾아라!) |
시나리오 쓰기 |
16주 | 이론과 실제 |
구성의 실제 3 (메인플롯과 서브 플롯 배치하기) |
시나리오 쓰기 |
17주 | 이론과 실제 |
구성의 실제 4 행동과 대사. |
시나리오 쓰기 |
18주 | 이론과 실제 |
원작의 각색과 OSMU ( 원작 이야기의 타 장르 변환 기술) |
시나리오 발표. 수강생 시나리오 읽고 분석 |
19주 | 이론과 실제 |
작품 발표 | 시나리오 발표. 수강생 시나리오 읽고 분석 |
20주 | 이론과 실제 |
작품 발표 및 수업 정리. | 총평. |
장편영화
<연애의 맛>(Love Clinic, 2015) 감독/공동각색
<헬로우 마이 러브>(Hello My Love, 2009) 감독/각본
<라라 선샤인>(LaLa Sunshine, 2008) 감독/각본
단편영화
<볼링블링>(Bowling Bling, 2017) 감독/각본
-인천장애인인권영화제 개막작(2020)
<로드킬>(Road Kill, 2016) 감독/각본
-테헤란국제단편영화제 아시아경쟁부문(2016,이란)
<온실>(Glasshouse, On-sil, 2005) 감독/각본
-파노라마필름메이커스영화제 최우수감독상(2006,그리스)
-아르시펠라고단편영화제 심사위원특별언급상(2006,이태리)
-파리한불영화제 한국단편영화부문 공식초청작(2006,프랑스)
-홍콩독립영화제 단편경쟁부문 'Asian New Force'(2006,홍콩)
-라시타델라국제단편영화제 국제경쟁부문(2006,이태리)
-토론토릴아시안국제영화제 공식초청작(2006,캐나다)
강의목표
20주 동안 장편영화 시놉시스-트리트먼트-시나리오의 창작과 완성을 목표로 합니다.주 | 강의 테마 | 강의 내용 |
---|---|---|
1주 | 오리엔테이션/3막 구성/기초이론 복습 | - 좋은 구성과 스토리란 무엇인가 - 각자 창작할 작품의 기획안 준비(과제) - 도서<유혹하는 글쓰기>(스티븐 킹) 읽기(과제) |
2주 | 영상 기호학과 메타포(metaphor)의 적용 방법 | - <그렇게 아버지가 된다>(2013)를 중심으로 - 시놉시스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3주 | ‘주제’와 작가의 ‘통찰(insight)’ 함유하기 방법 | - <라이프 오브 파이>(2012)를 중심으로 - 시놉시스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4주 | 캐릭터 드리블(dribble)/1인 주인공과 멀티 주인공
내면의 외면화, 주인공 훔쳐보기! |
- <기생충>(2019)을 중심으로 - <러브레터>(1995)를 중심으로 |
5주 | 좋은 대사란 무엇인가/명대사의 탄생 이유
갈등/ 장애물 설정의 사례와 적용 방법 |
- <위플래쉬>(2014)를 중심으로 |
6주 | 씨뿌리기와 거둬들이기 미리 알려주기와 예상하게 만들기 | - <겟 아웃>(2017)을 중심으로 |
7주 | 아이러니/서스펜스의 활용법 | - <킬링 디어>(2017)를 중심으로 |
8주 | 트리트먼트 워크숍1 | - 트리트먼트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9주 | 트리트먼트 워크숍2 | - 트리트먼트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10주 | 인터뷰 및 자료조사 | - 발표. 자료조사의 내용과 목적은 무엇인가 |
11주 | 인터뷰 및 자료조사 | - 발표. 누구와 무엇에 관하여 인터뷰인가 |
12주 | ‘공간’이 드라마를 낳는 방법이란 무엇인가 미장센/몽타주/교차편집의 영상언어 적용하기 |
- <유스>(2015)를 중심으로 |
13주 | 작가는 시간을 재창조한다(과거/현재/미래) | - <녹터널 애니멀스>(2016)를 중심으로 - <섹스,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>(1989)를 중심으로 |
14주 | 시나리오 분석 종합편 주인공은 변화(하려)하는가 |
- <델마와 루이스>(1991)를 중심으로 |
15주 | 룰(rule)을 아는 작가만이 룰을 파괴할 수 있다 | - 규칙을 파괴한 ‘성공 시나리오’ 사례 연구 - 흥행하는 글쓰기의 비밀 |
16주 | 시나리오 워크숍1 | - 초고 시나리오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17주 | 시나리오 워크숍2 | - 초고 시나리오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18주 | 시나리오 워크숍3 | - 초고 시나리오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19주 | 시나리오 워크숍4 | - 초고 시나리오 발표, 토론 및 교수 피드백 |
20주 | 완벽한(만족스러운) 엔딩이란 무엇인가 | - 공모전, 비즈니스 매칭 등의 종합 스킬 - 종강 및 합평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