작품경력
<간신> 각본 : 영화사 수필름 제작
<당신, 거기 있어줄래요> 각색 : 영화사 수필름 제작
다큐멘터리
<미디어가 만든 5.18 단편 다큐> : 5.18 기념재단 공모전 우수상
시나리오
단편 <추락> : 안산 상록수 시나리오공모전 장려상
장편 <역병> : 영화진흥위원회 시나리오마켓 추천작
사극 소설 <직필> 영화화 각색
방송
KBS 스페셜 5부작 <임진왜란 1592> 각색
강의목표
시작은 ‘두려움’이 아니라 ‘즐거움’이다.
좀더 쉽게 영화와 시나리오를 이해하고, 스토리를 컨트롤하는 기술 습득을 목표로 ‘기쎈 초짜’가 되기 위한 기초반 클래스.
주차 | 테마 | 내용 |
---|---|---|
1강 | 오리엔테이션 ‘시나리오 작가’란?&로그라인 |
시나리오 작가라는 포지션의 이해, 아이디어 저금하기. 로그라인에서 1페이지 아웃라인 만드는 법. / 자신의 인생과 목표, 프로필을 담아낸 한 문장 로그라인의 자기소개하기. |
2강 | 아이디어, 소재 발굴 및 전제작성. 주제와 메세지 |
아이디어에서 소재로, 소재에서 기획으로. 컨셉과 장르 선택. 자료조사와 셀프기획. 아이디어 저금하기-아웃라인 작성 소개. 이 소재를 통해 주제와 메시지 구현하기. |
3강 | 캐릭터 기획 및 구축 / 로그라인부터 아웃라인 만들기 |
매력적인 캐릭터는 매력적인 과거에서 나온다. -카타르시스 연구 소재에 맞춘 캐릭터 구성 및 각 캐릭터 역할 및 상성을 통한 아웃라인 완성하기 |
4강 | 첫 구성잡이 스토리라인 셋팅 |
아웃라인 속 캐릭터와 주제자 등을 통해 작업하는 최초 구성라인 잡기. 7가지 구성포인트에 맞춘 구성포인트 확립하는 법. |
5강 | 장르와 플로팅. 비트리스트 만들기 |
캐릭터가 만드는 플롯? 사건으로 부여되는 플롯? 그 차이와 효과 / 아이디어 수집, 퍼즐화 비트리스트로 발전과정 연구 (수강생 개인작품 제출 및 1대1 혹은 단체 피드백 시작) |
6강 | 시놉시스 |
비트리스트 집계로 완성하는 시놉시스. 시놉의 목표와 의미. 1차 과제 - 수강생들이 즉석 설정한 캐릭터 셋팅으로 시놉시스 만들기 |
7강 | 시놉시스 2주차 | 과제 발표 및 검수, 추가내용 보완 |
8강 | 레퍼런스, 피드백 활용하는 법 | 의견 수렴, 모니터링 활용하기 + 기존 작품 레퍼런스 활용하기 |
9강 | 트리트먼트 | 이상적인 디테일 기준 잡기. 체크사항 정리 과제- 레퍼런스 응용 셀프 트레이닝 두 편의 기존 영화 캐릭터를 통합, 새로운 스토리의 영화로 재조립하기. ex- 공공의 적 속 강철중 & 엽기적인 그녀 전지현 콜라보하기 (과제는 수강생 선택, 오리지날 작품 준비 원할 경우 skip) |
10강 | 트리트먼트 2주차 | 과제 검수, 대본 초고 단계 앞둔 최종단계 정리. %다시 써보는 시놉시스% |
11강 | 스토리를 피칭하기 (준비) |
자체 스토리 확립과 어필력 향상 위한 스토리 피칭타임 진행예정 및 안내. |
12강 | 스토리 피칭 실전 | 자신의 콘텐츠를 직접 판매하라. 실전연습 통해 제작자를 사로잡기. 주제와 메시지가 어필되는 피칭법. 그리고 이견에 대처하는 기술. Manner makes writer. (역: 상호 창작자를 배려하는 질의응답법) / 외부 심사 초빙 예정. |
13강 | 스토리 피칭 2주차 | 잔여 피칭 완수 후, 종합평 및 추가 코멘트 정리. |
14강 | 신속정확 초고 만들기 대본용어 및 효과 정리 |
초고는 최대한 빠르게, 스피드 라이팅 대본을 더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한 영상용어들 적절하게 사용하는 법 정리 |
15강 | 공동장면필사- 대본 필법탐구 | 영화연출 장면 이펙트 활용 예시 적용, 대본작법형식 확립 과제-개인 최애영화장면 필사해오기 |
16강 | 개인최애장면 필사 검수, 개인작품 피드백 |
과제 검수. 대본작업 코멘트. 개인작품 피드백 및 집중검수 시작. |
17-18강 | 작품 피드백, 각색요령 |
영원히 오리지날만 하는 작가는 없다. 회사의 기획물, 타 작가의 시나리오 각색, 기존 원작(소설, 웹툰) 을 영화화 시 주의점. 모티브 및 레퍼런스 작품 활용하기. 이 시점까지 시놉기준으로 오리지날 제출자 한정으로 수강생 간에 랜덤으로 작품 분배, 직접 각색해보기. (작품 분배작업 익명 진행) |
19강 | 랜덤각색 과제 검수, 피드백 현장 제작회의 코멘트 |
각색내용 최종검수, 제작회의 느낌으로 단체토론 및 강평, 피드백 각색 잔여내용 코멘트 |
20강 | 현장 팁 최종정리 마무리 |
전체내용 총정리 및 현장에 대한 최종팁 정리. 마무리 |
작품경력
<82년생 김지영> 각색 : 봄바람영화사 제작
<다시, 봄> 각본 : 26컴퍼니 제작
<골든슬럼버> 각색 : 영화사 집
미니다큐 시리즈
애니메이션
<피피루> 시즌1,2 각본 : 제작사 : Gale studio / EBS
<롱롱의 모험> 각본 : 제작사 : Gale studio / KBS
<팔릴라> 파일럿 대본 : 제작사 : 투앤원
<뽀로로와 노래해요>시즌3 각본 : 제작사 아이코닉스
<뽀롱뽀롱 뽀로로> 시즌5 각본 : 아이코닉스 / EBS
장편소설
<낙원-이중섭의 마지막 사랑> 집필 :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원작
수업 개요
전문반은 기초적인 작법을 바탕으로 좀 더 전문적 시나리오로 가공하는 과정, 그 결과물을 목표로 합니다.
좀 더 욕심을 부려보자면, ‘삶과 인물이 살아 숨쉬는’ 시나리오 쓰기를 목표로 하려고 합니다. 많은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어야 프로 작가가 되는 것이니까요.
구체적으로는 가독성이 좋고 흥미진진하며 다음 장면이 기대되는 그런 시나리오를 쓰기 위한 과정입니다.
강의내용 | |
---|---|
1강 | 시의성 있는 소재 찾기. - 좋은 이야기란 무엇인가 - 이야기와 사건 - 상상력과 관찰력 - 연역법으로 접근하기, 귀납법으로 접근하기 |
2강 | 극적 캐릭터 쓰기 - 주인공과 적대자 - 캐릭터(character) 세팅(setting) - 인물의 성격묘사 (내면의 외면화) - 인물의 목표 - 갈등 |
3강 | 사건설계Ⅰ - ACT 1 : 설정 - 도발적 사건 (구성점1) - 전제 - 일관되는 사실성 |
4강 | 사건설계 Ⅱ - ACT 2 : 대립 - 전개1 (Fun & Game) - 전개2 (위기) - 컨벤션(convention) : 관습화 된 영화적 요소 - 상투성(cliché)과 영화적 관습(convention)의 차이 |
5강 | 사건설계 Ⅲ - ACT 3 : 해결 - 절정 (구성점2) - 결말 - 사건의 해결 : 해결의 방식이 작가의 철학이다. - 이야기의 통일성 |
6강 | 결말에 드러나는 주제 만들기 - 당신의 주제를 이해하라 : 필연성 -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- 누가 어떤 일을 겪게 되는가 - 누가 어떤 일을 왜 겪게 되는가 - 누가 어떤 일을 왜 겪게 되어 무엇이 변화되는가 - 관객은 왜 이 영화를 보아야 하는가. |
7강 | 드라마의 원칙과 법칙 - 장애물 - 아이러니 - 씨뿌리기와 거두기 - Action과 Reaction |
8강 | 드라마의 감정선 만들기 - 행동이 먼저, 감정은 그 다음이다. - 인물의 감정선 만들기 - 사건의 전개와 감정선의 전개 - 극적 장면 |
9강 | 장르연구 Ⅰ - 멜로와 로맨틱코메디의 특징 - 구조와 설정 - 멜로와 로맨틱코메디의 캐릭터 |
10강 | 장르연구 Ⅱ - 코메디의 특징 - 구조와 설정 - 코메디의 방식 - 코메디에서의 캐릭터 |
11강 | 장르연구 Ⅲ - 공포와 스릴러의 특징 - 구조와 설정 - 공포와 스릴러의 법칙 - convention : 관습화 된 영화적 요소 |
12강 | 장르연구 Ⅳ - 드라마 장르의 분화 : 청춘드라마(성장드라마), 휴먼드라마, 역사드라마 등 - 구조와 설정 - 드라마의 문제와 해답 - 드라마의 캐릭터 |
13강 | 시나리오 연구 Ⅰ - 매체의 특징 : 영화, 드라마, 애니메이션, 웹툰 - 매체별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 |
14강 | 시나리오 연구 Ⅱ - 장르별 시나리오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 - 드라마, 멜로, 코메디, 스릴러, 공포, SF, 판타지 |
15강 | 시나리오 연구 Ⅲ - 씬(scene)과 시퀀스(sequence)를 중심으로 분석 - 구조화 된 시나리오 - 시나리오의 비트(beat) |
16강 | 시나리오 연구 Ⅳ - 영상기법을 중심으로 분석 - 샷(shot)의 이해 - 몽타쥬(montage)의 이해 - 영상 사운드(sound)의 장면화 |
17강 | 시나리오 연구 Ⅴ - 플롯(plot) 중심의 분석 - 메인플롯(main plot)과 서브플롯(sub plot) - 아크플롯, 미니플롯, 안티플롯, 다중플롯 - 좋은 시나리오란 |
18강 | 콘텐츠 산업의 이해 - 영상콘텐츠 제작 과정 - 영상제작과정에서의 작가의 역할 - 시나리오는 어떻게 팔릴까. - 영화 시나리오 표준계약서 |
19강 | 작품발표 Ⅰ - 시나리오 분석 - 필연성과 개연성을 정리하라 - 초고 고쳐 쓰기 |
20강 | 작품발표 Ⅱ - 시나리오의 각색 - 인물은 충분히 매력적인가 점검하라 - 시나리오 피칭(pitching)하기. |
영화 연출
<내 사랑 십자드라이버> (각본/편집/감독) : 베니스 국제영화제 단편경쟁부문 / 액상프로방스 국제 단편영화제 / 팜스프링스 국제단편영화제 / 클레르몽 페랑 국제단편영화제
<라듸오 데이즈> (각색/감독) : 부천국제영화제 / 제천국제음악영화제
<극적인 하룻밤> (각본/감독)
그 외
다큐멘터리 <동아기획> 공동연출/구성 - 서울영상위원회 기획개발사업 선정작, 뮤직비디오 연출 다수.
영화 시나리오
<고교강호> (기획시대) 각본
<괴도 루팡과 달> (기획시대) 각본
<독원숭이> (싸이더스) 각본
<썬데이@서울> (신신 엔터테인먼트) - 영진위 사전제작 지원 선정/각본
<사랑이라니, 선영아> (싸이더스) 각본
<라듸오 데이즈> (싸이더스 FnH) 각색
<오늘밤에 다녀가신대> (푸른여름) 각색
<프라이버시> (나우필름) 기획/각본 - 부산국제영화제 BFC 기획개발사업 선정작
<극적인 하룻밤> (연우무대/스토리지) 각본
<거리의 변호사> (오브라 크리에이티브) 각본
<레보루션> (신영 EnC) 각색
<어젠다>(가제) (신영 EnC) 각색
드라마 극본
SKT 모바일 드라마 <서바이벌 미팅게임> 극본
<H3> (진필름) 기획/극본
연구반_오프라인 강의목표
주 | 강의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1강 | 오리엔테이션/어떻게 쓸 것인가? | 자기 소개서/전문반 수강의 득과 실 '무조건 재미있게 써오기' |
2강 | 시나리오 쓰기 전 숨 고르기1/작품 분석 | 내 인생의 영화 옮겨쓰기1 |
3강 | 시나리오 쓰기 전 숨 고르기2/작품 분석 | |
4강 | 구조 3막 8시퀀스/작품 분석 | 내 인생의 영화 옮겨쓰기2 |
5강 | 구조 3막 8시퀀스/작품 분석 | |
6강 | 구조 이야기 유형1/작품 분석 | 레퍼런스 영화 옮겨쓰기1 |
7강 | 구조 이야기 유형2/작품 분석 | |
8강 | 캐릭터1/작품 분석 | 캐릭터 위주 영화 옮겨쓰기 |
9강 | 캐릭터2/작품 분석 | 레퍼런스 영화 옮겨 쓰기2 |
10강 | 15단계 포인트 정리1/시놉시스 완성 | 레퍼런스 영화 옮겨 쓰기3 |
11강 | 15단계 포인트 정리2/시놉시스 완성 | |
12강 | 시나리오 체크 리스트 정리 | 아직도 안쓰고 있었다구요? 빨리 시작해! |
13강 | 시나리오 집필의 실제/씬 만들기, 쓰기 | 리뷰1 |
14강 | 시나리오 집필의 실제/구성점 | |
15강 | 시나리오 집필의 실제/대사, 지문 쓰기 | 리뷰2 |
16강 | 시나리오 집필의 실제/전체구성 다시 보기, 쓰면서 퇴고하기/생략의 효과 | |
17강 | 시나리오 쓰기의 실제/합평 | 리뷰3 |
18강 | 퇴고 리스트 - 각종 집필서에 나오는 리스트 최종 정리 | 리뷰4 |
19강 | 각색의 실제 | |
20강 | 마지막 합평 | 각자 완성된 시나리오 들고 정글 속으로! |
연구반_온라인 강의내용
주 | 강의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1강 | 이야기란 무엇인가? | 수강생 자기소개서 (무조건 재미있게 써서 제출) |
2강 | 이야기 만들기? 이야기 만나기! /기획의 실제1 | 로그라인 쓰기1 |
3강 | 플롯 중심 구조1 /기획의 실제2 | 로그라인 쓰기2 |
4강 | 플롯 중심 구조2 /기획의 실제3 | 로그라인 쓰기3 |
5강 | 구조도의 완성 - 3막 구조의 완성 | 4페이지 이야기 쓰기1 |
6강 | 이야기 유형1 | 4페이지 이야기 쓰기2 |
7강 | 이야기 유형2 | 나의 이야기 유형 정하기 |
8강 | 로그라인 | 로그라인 10개 이상 쓰기 |
9강 | 아웃라인 | 로그라인에서 아웃라인으로! |
10강 | 15단계 포인트로 이야기 쓰기1 | 시놉시스 집필 |
11강 | 15단계 포인트로 이야기 쓰기2 | 기획안 완성 |
12강 | 캐릭터 중심의 이야기 쓰기1 | 대본/시나리오 집필 시작 |
13강 | 캐릭터 중심의 이야기 쓰기2 | |
14강 | 얼터너티브 작가가 되기 위한 대안적 글쓰기 | |
15강 | 트랜스 미디어의 활용 (외부 전문가 특강 예정) | |
16강 | 드라마 기획안 / 시나리오의 실제1 | |
17강 | 드라마 기획안 / 시나리오의 실제2 | |
18강 | 초고의 완성1 | |
19강 | 초고의 완성2 | |
20강 | 합평 - 대체 뭐가 문제지? (퇴고 리스트) | 집필 끝 |
영화 경력
장편극영화 <무방비도시> 각본, 감독
장편극영화 <바람의 파이터> 각본
Web 영화 <조선농민사전> 각본, 감독
창작반 강의내용
“매혹적인 플롯은 급반전과 아이러니가 있어야 한다.”
- 아리스토텔레스 <시학>
주 | 강의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1강 | 기존 자기 작품 및 자기소개 | |
2강 | 하이 컨셉(High Concept) 의 중요성 셀링 포인트(Selling Point)를 잡아라 |
|
3강 | 앞으로 쓰게 될 시나리오 피칭(Pitching) 1 | |
4강 | 앞으로 쓰게 될 시나리오 피칭(Pitching) 2 | |
5강 | 시나리오 3대 요소 / 1. Who done it? |
각자 쓸 시나리오 캐릭터노트 & 메인플롯 제출 |
6강 | 시나리오 3대 요소 / 2. Why done it? |
각자 쓸 시나리오 시놉시스 제출 |
7강 | 시나리오 3대 요소 / 3. How done it? |
|
8강 | 제출한 시놉시스 분석 1 | |
9강 | 제출한 시놉시스 분석 2 | 각자 쓸 시나리오 트리트먼트 제출 |
10강 | 제출한 트리트먼트 분석1 | |
11강 | 제출한 트리트먼트 분석2 | |
12강 | 제출한 트리트먼트 분석3 | 대본/시나리오 집필 시작 |
13강 | 제출한 씬바이씬 분석1 | |
14강 | 제출한 씬바이씬 분석2 | |
15강 | 제출한 씬바이씬 분석3 | |
16강 | 장편극영화시나리오 연구 1 | |
17강 | 장편극영화시나리오 연구 2 | 그간 각자 쓴 시나리오 제출 |
18강 | 각자 제출한 장편 시나리오 분석 1 | |
19강 | 각자 제출한 장편 시나리오 분석 2 | |
20강 | 각자 제출한 장편 시나리오 분석 3 | 총평, 종강 |
영화 경력
다큐멘터리 <버블아트> 각본/연출 : 인디다큐페스티벌 신인감독 제작지원
장편극영화 <눈발> 각본/연출 : CJ azit project S 4기 <신인 스토리텔러>, 영화진흥위원회 하반기 <독립영화 제작지원>, 명필름 영화학교 <장편영화 제작선정>, 17회 전주국제영화제 <전주시네마프로젝트 지원>
<마이오네트> 각색
장편시나리오
<이방인> : CJ E&M Writher's camp 4기 <신인작가>선정
<대기인> : CJ E&M 영화1팀 기획/각본
<견인> : 영화진흥위원회 씬원 장편극영화 랩
단편영화
<징후> : 미쟝센 단편영화제 <미쟝센 촬영상>, 장애인영화제 <특별상>
<수업개요>
토요반은 서사의 본질과 플롯구조를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단편시나리오 쓰기를 목표로 합니다.강의내용 | |
---|---|
1강 | 영화와 서사의 이해 1) 시나리오/영상매체/작가란 무엇인가? 2) 강사소개 및 학습목표, 강의개요 안내 |
2강 | 서사와 플롯 1) 서사의 본질과 구성요소 2) 비극과 플롯의 이해 |
3강 | 소재와 아이템 구성 1) 좋은 이야기를 찾는 시선과 방법 2) 모티브, 컨셉, 로그라인 개발 과제1 제출 - 아이템 쓰기 |
4강 | <아이템 쓰기> 과제 분석1 |
5강 | 플롯의 구성요소 1) 소재, 인물, 사건의 결합 2) 서사를 강화시키는 핵심요소 |
6강 | 시납시스와 트리트먼트 1) 시납시스, 인물소개, 기획의도 구성하기 2) 트리트먼트 쓰기, 단편서사의 이해 과제2 제출 - 시납시스 쓰기 |
7강 | <시납시스 쓰기> 과제 분석1 |
8강 | <시납시스 쓰기> 과제 분석2 |
9강 | 시나리오 구조 1) 3장 이론과 시나리오 구조의 패러다임 2) 단편영화로 플롯 분석하기 |
10강 | 매력적인 캐릭터 구축 1) 캐릭터의 발견과 속성 2) 단편영화로 캐릭터 분석하기 |
11강 | 대사와 지문 쓰기 1) 보여줄 것인가, 말할 것인가? 2) 지문묘사와 대사쓰기의 핵심 과제3 제출 - 트리트먼트 쓰기 |
12강 | <트리트먼트> 과제 분석1 |
13강 | <트리트먼트> 과제 분석2 |
14강 | <트리트먼트> 과제 분석3 |
15강 | 단편 시나리오 창작기법 1) 아이템기획부터 장 구성까지 2) 극적인 아이러니와 딜레마 3) 오프닝과 엔딩의 완결성을 위한 기법 과제4 제출 - 단편영화 시나리오 쓰기 |
16강 | <창작 시나리오> 과제 분석1 |
17강 | <창작 시나리오> 과제 분석2 |
18강 | <창작 시나리오> 과제 분석3 |
19강 | <창작 시나리오> 과제 분석4 |
20강 | 시나리오 각색 1) 각색의 이해와 응용 2) 다음 습작을 위한 준비과정 |
<과제 개요>